책 사용법
독자에 대한 친절이 될지 군짓이 될지 모르지만 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 끝내지 않고 그 실제적 유용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이 책을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을 참고적으로 제시한다. 대학 강단에서 교수해 왔던 교육자로서의 직업병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사용법은 이 책을 읽는, 삶의 의미에 관심이 있는 독자 모두를 위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대학 논술고사처럼 17 개의 삶의 의미에 대한 에세이를 한 편씩 작성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스스로 할 수도 있고 집단으로 할 수도 있다. 개인이 사용하면 독서 노트나 소감문으로 남고 그룹 토론에서 사용하면 토론이 풍성해지고 관점을 다각화할 수 있다. 독자들이 누구이든지 간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이것은 형편과 처지에 따라 자기에게 맞게 응용하거나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단계의 수나 성격 그리고 글의 분량은 사정에 따라 얼마든지 적의하게 조정될 수 있고 또 조정되어야 한다.
1단계 요약하기: 장별로 논의된 개별 철학자의 삶의 의미론 하나하나를 제3자에게 전달해줄 요량으로 자기 나름으로 500자 내외로 요약한다.
2단계 적용하기: 개별 철학자의 삶의 의미론에서 배운 것(지성), 느낀 것(정서)이 무엇인지 를 적고 이를 자신의 삶의 변화나 사회 발전을 위해 어디에 또는 어떻게 적용할지(의지)를 300자 내외로 기록한다.
3단계 비판하기: 개별 철학자의 ‘삶의 의미론’ 이해를 토대로 수용과 거부, 긍정과 부정, 장 점과 단점, 찬성과 반대 등으로 삐딱하게 따지고 딴지를 건 후 자신의 대안 적 삶의 의미를 500자 내외로 제시한다.
4단계 평결하기: 개별 철학자들이 저마다 규정한 삶의 의미를 역자해제 도표처럼 간명한 캐치 프레이즈로 표현하고 그에 대한 한 줄 평을 별표 개수(다섯 개 만점)로 나타 내며 그 사유를 50자 내외로 적는다.
5단계 후일담화: 개별 철학자의 삶의 의미론에 대해 1-4단계를 수행한 후에 가지게 된 자신 의 소감과 소회를 자유롭게 발언하는 50자 내외로 적는 뒤풀이 자리이다. (끝)
'서평문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도들이 일으킨 혁명 (0) | 2023.02.05 |
---|---|
신을 잃은 시대에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0) | 2021.11.24 |
신의 죽음과 삶의 의미 소개 (0) | 2021.10.08 |
자본주의 경제의 구원이 출간되었습니다. (0) | 2021.04.01 |
예수와 철학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