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철학회 학술 총서를 소개합니다. 대한철학회는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도약의 계기로 학술총서를 발간했습니다. 현재 총 8권입니다. 1. 한국성리학의 수용과 전개, 김상현 편 교육과학사 2. 동양의 자아철학, 김상현 편 교육과학사 3. 동양의 환경생태철학, 김상현 편 교육과학사 4. 서양철학의 수용과 탈식민철학의 가능성, 류의근 편 교육과학사 5. 서양의 자아철학, 류의근 편 교육과학사 6. 서양의 환경생태철학, 류의근 편 교육과학사 7. 허유 하기락의 삶과 사상 그리고 기억들, 이재성 편 다르샤나 8. 칸트철학과 , 이남원 편입니다. 다르샤나 관심과 성원을 기대합니다. 더보기 윤대통령의 왕 놀음 [신진욱 칼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월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신진욱 |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요즘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말 한마디로 국가의 큰 결정이 내려지고 정부, 여당, 언론이 ‘어명’을 받드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대한민국이 도로 대한제국이 되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현실을 반영하듯이 사람들의 관심과 비판적 담론들 역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대통령 측근들에게 집중된 것 같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 우리는 중요한 것을 놓칠 수 있다.대통령제의 폐해, 특히 윤 대통령의 일방적인 불통 정치의 문제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심각하다. 그런데 그는 정말로 전능한 왕인가? 아니면 지배계급의 거대한 카르텔이 한국 사회.. 더보기 존 로크는 식민주의 철학자였다 [JReviews]탑재하는 논문은 경북대 강사 허재훈 선생님의 영국 고전 경험론의 시조인 존 로크의 인식론과 정치사회사상을 탈식민적 관점에서 비판하는 논고이다. 서양철학사상에 대한 우리의 오래된 선이해와 전통적 사고가 충분히 위조되고 거짓된 것임을 폭로하는 글이다. 철학과 제국의 관계 다시 말하면 철학이 서양의 제국 또는 제국주의, 식민주의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또는 제국이 철학의 발전과 전개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했는지를 보여주는 글이다. 우리가 발딛고 있는 서양 철학 사상의 수동적 수용이나 유행이 우리의 생각을 부지불식 간에 얼마나 오염시키고, 오염시켰는가를 증시하는 사고 노력이다. 서양의 철학 사상이 우리의 정신을 제국적으로 식민화했기 때문에 우리의 정신은 탈식민화되어야 할 요소와 선이해..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