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수평론

[책] 출애굽과 혁명 추천사

대장간에서 출애굽과 혁명을 2017년 발간하였다. 왈쩌 저서로서 한동대학교 이국운 교수가 번역하였다. 이 책은 대장간에서 성경과 제국 시리즈 제 1권으로 출판하였다. 아래에 추천사를 탑재한다. 아울러 성경과 제국 시리즈의 간행사도 별도의 글로 탑재한다.

 

저자와의 가상 인터뷰

 

Q1. 출애굽과 혁명은 무슨 목적으로 저술되었는가?

왈쩌: 구약 성서의 출애굽 이야기가 서구 정치 사상사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혁명적 프로 그램의 원형이고 원천임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Q2. 출애굽과 혁명이 다루는 논제는 무엇인가?

왈쩌: 출애굽 이야기를 현실의 예속, 억압, 불의에 대항하는 구원, 해방, 혁명의 추구 과정으 로 이해할 때 그 혁명 진행 과정은 레닌주의의 정치 논리와 사회 민주주의의 정치 논 리로 해석할 수 있는 양면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본다.

Q3. 출애굽과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들은 어떤 것인가?

왈쩌: 언약과 자유라고 말할 수 있다. 노예로부터 벗어난 이스라엘 백성은 여전히 노예 정신 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에 약속의 땅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광야에서 자유인으로서 자신 의 선택에 자발적 책임을 지는 존재로 거듭나는 훈련을 받아야 했고 이 훈련은 하나님 과의 시내산 언약에 서명함으로써 진행된다. 언약은 노예근성을 지닌 이스라엘 민족이 거룩한 백성의 제사장 나라로 거듭나기 위한 사회적 계약에 비유될 수 있다.

Q4. 출애굽과 혁명이 제시하는 결론은 무엇인가?

왈쩌: 나는 결론적으로 출애굽 역사 속에서 나타난 혁명적 프로그램에 비추어 현대 이스라엘 의 정치적 메시아주의적 시오니즘, 현대 정치 급진주의자와 혁명가들의 메시아주의에 대해 균형적인 잡힌 시각에서 건전한 비평을 제시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급진주의 정치 이데올로기들은 혁명과 반혁명의 양극단 사이에서 자유로운 백성으로 훈련하고 언약의 조건들 속에서 살아가고자 하는 출애굽의 조심스러운 온건한 정치 행위와는 불일치하기 때문이다.

Q5. 출애굽과 혁명은 어떤 전제에 의거해서 그러한 결론적 비평을 내릴 수 있었는가?

왈쩌: 출애굽 역사와 정치는 여러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출애굽 이야기의 근 본 메시지는 이집트의 정치적 억압과 사회적 불의로부터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희망 의 땅으로 가는 혁명 과정에서 수천 명을 칼로 처형하라는 모세의 정치적 숙청의 명령이 있었다 할지라도 혁명의 절대화는 거부하면서 인간의 내면적 변화의 중대성에 심히 주목 해야 한다는 점에 있다고 믿는다. 그러한 광야의 정치적 투쟁의 세월이 40년을 소요했다 는 점을 주지하고 싶다.

Q6. 출애굽과 혁명에서 당신이 동원한 지식과 경험과 주장은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가?

왈쩌: 출애굽 이야기에 관한 30년 전의 글이니 그동안 많은 주석과 해석이 나왔을 것이다. 그 러나 출애굽 정치를 혁명적 프로그램으로 파악하고 그 일반적 성격에 대해서 성찰한 나 의 해독은 출애굽 이야기를 혁명 정치로 이해하려는 이들에게는 현재에도 건전하고 유 효하다고 생각한다.

Q7. 출애굽과 혁명은 어떤 관점에서 저술되었는가?

왈쩌: 신앙적, 신학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세속 정치적 관심과 정치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되었 다. 신자들은 출애굽 이야기에서 역사적 과정에 개입하는 신의 손길과 행적에 눈길이 많이 갈지 모르지만 그보다는 출애굽 역사와 정치가 보여주는 패러다임이 우리가 처해 있는 불의한 세속적 현실에 대한 해방을 추구하려 할 때 기본적으로 취해야 할 문제 해결적 모형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출애굽 혁명 정치 모형은 각자가 이 텍스트를 자신의 콘텍스트에서 실천하거나 실현해 갈 수 있다.

Q8. 출애굽과 혁명이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해 가지는 함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왈쩌: 현재 한국 사회는 최순실 게이트에서 드러난 적폐를 청산하고 새로운 약속의 땅으로 진 입하기 위한 중대 기로에 서 있는 것으로 평가되므로 시민의 고차적인 민주적 영성의 사회화와 과감한 사회 시스템의 변혁을 병행하는 출애굽 정치 혁명을 국민적국가적으 로 개시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Q9. 출애굽과 혁명이 현재 한국 사회의 역사적 상황과 맥락에서 기여하는 바는 무엇인가?

왈쩌: 방금 말했다시피 현재 한국 사회는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촛불 시민 명예 혁명을 수행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이 사태는 출애굽과 같은 정치적 혁명 프로그램의 하나로 상상 하고 연구할 수 있는 현재 진행형인 역사적 과정이다. 따라서 출애굽 이야기가 보여주는 바대로 한 편으로는 이집트의 현실로 되돌아가려는 노예와 세대들의 반역과 퇴행, 그리 고 다른 한편으로는 희망의 땅을 믿고 예전의 굴욕과 노예근성에 벗어나려는 거룩한 백 성의 용기와 인격 사이에서 광야생활을 행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출한국의 여정은 출 애굽의 감행과 닮은 것으로서 무엇보다도 정의와 평등에 대한 책임을 자발적으로 짊어지 는 자유로운 영혼의 시민을 길러내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 기독교계와 한국 사회 일반이 떠맡는 공통 과제일 것이다. (신라대 철학 교수 류의근)